주정부, 공중보건분야 10년 100억불 지원
300여명 추적팀 가동.. 커뮤니티 확산 차단
“빅토리아 실패 사례 감안, 안심 단계 아냐” 

분권화된 NSW 보건지구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코로나 감염에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NSW가 2차 감염 사태를 맞아 방역에 성공하고 있는 이유는 공중보건시스템에 대한 주정부의 꾸준한 투자와 효과적인 방역 전략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7일(월) 스콧 모리슨 총리는 “NSW의 ‘검사와 추적’ (test-and-trace) 전략이 코로나-19 억제를 위한 황금률 (gold standard)”이라고 호평했다. 연방 정부가 NSW의 방역 모델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정한 것. 

현재까지 NSW에서 발생한 코로나 확진 사례는 8일 기준 3,953건으로 인구 10만명 당 1.3명의 비율이다. 또한 NSW에서는 여전히 해외 유입 사례(2,093건)가 53%로 국내 감염 사례보다 많다. 

NSW는 지난 7일동안 52명의 신규 감염으로 하루 평균 약 7명으로 대체로 한 자리수를 유지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급증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연방 최고의료자문관(Chief Medical Officer)을 역임한 브렌든 머피(Brendan Murphy) 신임 보건 차관보는 “NSW가 보건 위기 상황에 잘 준비되어 있었다. 오랫동안 공중 보건 분야에 선진적 투자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분권화된 보건행정구역(local health district)마다 공중보건부서(public health unit)가 가동돼 대규모 전염병 대응팀을 보유하고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NSW대학 산하 커비연구소(Kirby Institute)의 감염학자 레이나 맥킨타이어 박사도 “지난 20년 동안 NSW가 보건 시스템에 꾸준히 투자해 온 결과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 공중보건시스템이 구축됐고 효과를 발휘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기간 빅토리아주에서는 중앙집권 형태의 보건 시스템이 붕괴된 것과 크게 비교된다. 평상시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팬데믹과 같은 도전이 직면하면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NSW 주정부는 2012년 이후 간호 인력(nursing and midwifery)을 18%, 의사를 35% 증가했고 2011년부터 보건 인프라 개선을 위해 100억 달러를 투자했다.

주정부의 전염병 대응 전략도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NSW의 코로나 드라이브-스루 검사

케리 챈트(Kerry Chant) NSW 최고의료자문관은 “전염병 추적팀 덕분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광범위한 지역 확산을 막았다”고 말했다. 현재 NSW에는 300명이 넘는 인력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추적 작업을 하고 있다.

감염학자인 캐서린 베넷(디킨대학) 교수도 NSW 보건 당국이 시행하고 있는 ‘사례 관리 연구’를 좋은 방역 전략으로 꼽았다.

사례 관리 연구는 동일한 조건에서 왜 어떤 사람은 감염되고 다른 사람은 감염되지 않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상황별로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베넷 교수는 “이들은 단순히 추적 조사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사람들의 행동 양식을 연구한다.”고 소개했다.

NSW 보건부 대변인은 그동안 지역 감염 감시를 위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유관 분야 인원 확충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NSW 보건 당국이 완전히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맥킨타이어 교수는 “지난 몇 달 동안 NSW 보건 당국이 감염자 추적을 해 올 수 있었던 것은 일일 신규 확진자가 비교적 적었기(20명 미만) 때문이다. 확진자 수가 세자리수 이상으로 급증하면 시스템이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7일 기자회견을 가진 스콧 모리슨 총리(오른쪽)와 그렉 헌트 보건장관(가운데),

그는 “숫자가 급격히 늘면 수동으로 확진자를 추적하는 방식을 계속 사용할 수는 없을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 NSW 당국이 빅토리아 주정부보다 더 나은 대응을 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고 말했다.

맥킨타이어 박사는 호주가 구식(old-fashioned) 수동 모델을 탈피하기 위해 디지털 추적 시스템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베넷 교수도 빅토리아주에서 발생한 사태(2차 감염 폭증)가 언제라도 NSW에서 발생할 수 있었다며 “다만 NSW는 먼저 주의를 기울였고 그에 따라 조치를 앞서 취해 감염 확산을 막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